1) 채권이란?
채권이란 예금과 비슷하지만 예금과 주식의 중간정도라고 볼 수 있다.
정부, 공공기관, 금융기관, 주식회사에서 자금을 조달받기 위하여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 증서이다.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으로써 정해진 만기일까지 예금과 비슷하게 작동하지만 해당 증서를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다.
채권은 주식의 변동성에 대비한 헷징 자산으로 투자하는 경우도 있다
채권의 종류
국채 : 정부 채권
지방채 : 지역 자치단체 채권
특수채 : 공공기관 채권
금융채 : 금융기관 채권
회사채 : 주식회사 채권
단기채
단기채는 일반적으로 1년 미만의 만기를 가지는 채권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 3년까지도 단기채로 취급하기도 한다
채권 발행자는 만기 기간 이후에 원금과 이자를 반환해야 하므로 현재 금리에 따른 이자수익 혹은 3년 이내 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보고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이다.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이다
단기채의 특징
- 짧은 만기 : 주로 1년 미만의 기간으로 발행되며, 보통 1개월부터 1년까지의 기간을 포함합니다.
- 낮은 이자율 : 일반적으로 다른 채권에 비해 낮은 이자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정성 : 주식 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대비책으로 활용되며, 일반적으로 안전한 투자 수단으로 간주됩니다.
장기채
장기채는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의 긴 기간 동안 발행되는 채권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채권은 긴 기간 동안 발행되며, 발행자는 채권 가격을 지급한 후 수십 년 후에 원금과 이자를 반환해야 합니다. 장기채는 높은 이자율을 가질 수 있지만, 동시에 긴 만기로 인해 시장 변동성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장기채의 특징
- 긴 만기 :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의 기간으로 발행되며, 수십 년에 걸쳐 발행될 수도 있습니다.
- 높은 이자율 : 단기채에 비해 높은 이자율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시장 변동성 노출 : 발행 후 장기간 동안에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일정 부분의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2) 채권 ETF란?
채권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채권 포트폴리오, 지수를 추종하는 일종의 펀드 상품입니다.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주식처럼 사고팔수 있는 형태로 되어있음으로 일반 채권과 달리 만기가 없어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배당 혹은 매매에따라 세금 및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3) 채권과 금리의 연관성
채권 가격은 주로 시장 금리에 따라 움직입니다. 보통 금리 상승시에는 채권가격은 하락하고 금리 하락 시 채권은 상승합니다
채권과 금리가 상관관계를 띄는 이유
채권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내가 가지고 있는 채권 증서의 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일반적인 은행 예금의 경우 우리는 금리가 상승하면 받을 수 있는 돈이 상승하게 된다고 생각하는데 이건 예금의 경우이다
즉 10,000원을 3% 금리의 예금을 가입하였을 경우 최종적으로 10,300원을 받게 되지만
채권의 경우 반대로 작동한다.
채권의 경우는 받는 가격이 정해져 있다 즉 10,000원을 받을 수 있는 채권증서를 얼마에 살건지 파는 것이다
즉, 금리가 3%의 채권증서를 구매하여 최종적으로 10,000원을 받으려면 9,700 가량의 증서를 구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후 금리가 변동된다고 생각해 보자
이자율 | 예금액 가격A | 예금 가격B | 채권 가격A | 채권 가격B |
1% | 10,000 | 10,100 | 9,900 | 10,000 |
2% | 10,000 | 10,200 | 9,800 | 10,000 |
3% | 10,000 | 10,300 | 9,700 | 10,000 |
4% | 10,000 | 10,400 | 9,600 | 10,000 |
5% | 10,000 | 10,500 | 9,500 | 10,000 |
대략적인 계산 값이며 정확하지 않습니다
채권이 변동성을 가지는 이유
3% 채권의 증서 가격이 9,700원이었다 그런데 금리가 4%로 상승하였다고 생각해 보자
사람들은 9,600원에 채권증서를 새로 구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굳이 3% 금리 때 구매한 사람의 채권 증서를 웃돈을 주고 구입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앞서 말했듯 채권은 사고팔 수가 있다 여기서 발생한 유동성이 금리 변동의 모멘텀에 따라 변동성이 생기는 것이다
다시 말해 채권은 사고팔 수 있다 정해진 만기 금액이 있기 때문에 역으로 증서의 가격이 변동하는 것이다
4) 채권과 채권 ETF의 변동성 및 수익률
채권 ETF는 상기 설명한 내용에 따라 모멘텀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변동성이 크지만 그에 따른 수익률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월배당 개별주식: 성장하는 월세, 배당주 (3) | 2024.03.30 |
---|---|
레버리지의 위험성 : 투자의 미묘한 폭탄, 무조건 망하는가? (2) | 2024.03.29 |
개인소비지출(PCE)이란? : 의미와 영향 (1) | 2024.03.28 |
스태그 플레이션이란? : 공포의 경제 그리고 대응전략 (1) | 2024.03.28 |
미국 직투 배당 주는 미국채ETF 분석 : SHY, IEF, TLT, TMF (1) |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