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CE 지수란?
'PCE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물가지수는 '미국 내 소비 물가의 전체 평균 지수 지표'입니다.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의 서비스와 가격의 변동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소비, 지출에 집중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지표를 확인하게 되면 기간 내의 미국 국민들의 소비 동향을 확인 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인플레이션의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PCE지수 지표들
PCE는 다양한 지표들의 평균 지수 지표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다양한 수치들의 평균치를 표시하며 이 뜻은 PCE 자체의 지수가 아닌 세부 항목에 따라 시장의 분석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시의 움직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해석에 따라 달라지며 수치를 크게 상회 혹은 하회하는 것이 아니면 확실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PCE와 CPI의 차이는?
PCE와 CPI는 모두 미국 소비자 물가를 측정하는 지수이지만 PCE는 앞서 말했듯 개인 소비 지출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러나 CPI의 경우는
소비자 관점에서의 상품 및 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즉 CPI는 소비자의 직접적인 현금의 지출을 의미하고 PCE는 전제 지출의 합계를 전체적으로 보는 수치입니다.
⬇︎CPI 지수란 무엇인가?⬇︎
2024.04.12 - [경제/경제용어, 주식] - CPI(소비자 물가지수)란? 그리고 의미와 영향
CPI(소비자 물가지수)란? 그리고 의미와 영향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소비자들이 시장의 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오늘은 CPI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CPI 지표는 우리 사회, 경제에 어떠
ai-sw.tistory.com
2) PCE 지수의 영향 요소
- 경기 상태 파악 : PCE 지수는 소비 지출의 변화를 측정하는 값이므로 소비 지출이 증가하면 호황 상태일 가능성이 있고, 감소하게 되면 소비가 위축되었다는 것이므로 경기가 둔화 혹은 침체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 PCE는 미국 연준에서 주의 깊게 보고 있는 물가 상승률 측정 주요 지표 중 하나로서, PCE가 높으면 인플레이션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통화정책 : 이 값은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수치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에서 해당 지수를 참고하여 통화정책을 결정하게 됩니다.
- 금융시장 : PCE 지수의 변화에 따라 채권 및 달러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경기의 흐름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영향을 미침으로서 예상치를 상회 혹은 하회함에 따라서 시장의 변동성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3) 마무리
PCE 지수는 소비자 물가와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통화정책 결정과 금융 시장 투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투자자들은 PCE 지수의 변화 추이를 주의 깊게 지켜보며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월배당 개별주식: 성장하는 월세, 배당주 (2) | 2024.03.30 |
---|---|
레버리지의 위험성 : 투자의 미묘한 폭탄, 무조건 망하는가? (2) | 2024.03.29 |
스태그 플레이션이란? : 공포의 경제 그리고 대응전략 (0) | 2024.03.28 |
미국 직투 배당 주는 미국채ETF 분석 : SHY, IEF, TLT, TMF (1) | 2024.03.27 |
채권과 채권ETF : 안정적인 투자수단 (1)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