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레버리지란?
우선 레버리지란 "지렛대"라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자본금에 추가적인 자본금을 빌려서 투자하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즉 투자에 사용되는 자금이 투자자의 자본보다 더 큰 규모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레버리지 상품을 얘기할 때는 빚을 내서 투자를 하는 경우로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부동산을 구매하거나 저금리 대출을 통한 채권 투자 혹은 주식, 채권 등등 다양한 방식으로 레버리지 투자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주식 시장에서의 레버리지
주식 시장에서 레버리지 투자를 한다고 하면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빚을 내서 투자를 하거나 레버리지 상품을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흔히 주변에서 레버리지 투자에 대해 장기투자하면 녹는다, 혹은 너무 위험하다, 횡보장에서는 들어가지 말라고 합니다
이는 맞는말도 있고 틀린 말도 있습니다. 즉 수익을 극대화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손실도 극대화할 수 있는 위험이 따르기에 투자자의 확실한 견해가 필요합니다.
주식 시장에서의 레버리지 상품
나스닥지수를 추종하는 QQQ 상품을 예로 들어 보겠다 QQQ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 중 금융주식을 제외한 100여 가지 주식들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다 1배로 추종한다.
그럼 QQQ의 레버리지 상품이 존재하는가? 당연히 있다 2배 3대 5배 까지도 존재한다.
배율 | 상품명 |
1x | QQQ |
2x | QLD |
3x | TQQQ |
5x | 5QQQ(영국에 상장) |
일반적으로 생각했을때 QQQ가 100 -> 110 즉 10의 지수가 상승하였을 때 우리는 10% 퍼센트 상승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 지수 100 > 110
-상승률 +5%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였을떄 2배 상승이면 10% 3배 상승이면 15% 상승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이론적인 개념이고 실제는 조금 다르게 작동한다. 예를 들어 2배 및 3배 상품만 살펴보도록 하겠다
위 세가지 ETF는 순서대로 QQQ, QLD, TQQQ이다 QQQ는 당일 0.34% 상승하였다 그러면 2배 및 3배 상품은 각각 0.68% 및 1.02%가 되어야 하는 게 그러지 않았다 여기서 레버리지의 특징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3) 레버리지가 위험한 이유
주가 횡보시 레버리지 상품의 가격 하락
우리가 1x 의 일반주식을 거래하는 경우에는 지수가 100 -> 90 -> 100으로 돌아오게 되면 본전이다 이를 퍼센트로 계산해 보면 -10%의 손실 이후 +11.11%가량의 상승으로 본전으로 회복하였다. 원금 복구 시 추가적인 수익이 더 필요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차후 설명하겠다.
1배 지수 변동 : 100 -> 90 -> 100
수익률 : -10% -> +11.11%
이를 2배 레버리지에 적용해 보면 100에서 20% 하락하여 80이 될 것이다 이때 상승도 크게 아니까 원점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2배 지수 주가변동 : 100 -> 80 -> 97.76
수익률 : -20% -> +22.22%
원금복구를 위한 상승률 : 25%
정확하게 2배로 움직였지만 원금을 회복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20% 하락 시에는 25%의 상승이 있어야지만 원금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주가 횡보 시 레버리지 상품은 원래 가격을 회복하지 못하게 된다 이 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총 자산가치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게 된다.
장기 투자시 레버리지 ETF가 하락하는 이유
장기투자 후 횡보 시에는 주가가 하락하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ETF는 운용 보수가 있다 만약 운용보수가 1%라고 하면 매일매일 1%/365일
의 가격만큼 하락하게 됩니다 이러한 주가가 10년 동안 이어지게 되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가 됩니다
4) 실제 레버리지 ETF의 흐름
레버리지상품은 높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레버리지를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위 3가지 레버리지 상품을 보면 높은 상승 및 엄청난 하락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큰 상승폭도 동반하는 나스닥의 경우 큰 하락 이후 크게 다시 상승하여 주가를 크게 상회하는 경우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적립식으로 저점에 많이 적립하는 방식으로 장기투자를 하여 큰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도 있습니다 그러나 몇 년 동안 -80%가 찍히는 계좌를 버틸 수 있는 강한 정신력이 필요합니다.
5) 마무리
투자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이러한 정보들을 가지고 본인만의 투자전략을 구상하고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현명한 투자를 해야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의 모든 것 : 미래를 위한 세금우대 통장 (1) | 2024.03.31 |
---|---|
미국 월배당 개별주식: 성장하는 월세, 배당주 (3) | 2024.03.30 |
개인소비지출(PCE)이란? : 의미와 영향 (1) | 2024.03.28 |
스태그 플레이션이란? : 공포의 경제 그리고 대응전략 (1) | 2024.03.28 |
미국 직투 배당 주는 미국채ETF 분석 : SHY, IEF, TLT, TMF (1) |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