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생산자 물가지수)란 무엇인지 이러한 지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PPI란 무엇인가?
1-1. PPI의 정의
'생산자 물가지수(PPI)'는 특정한 기간 동안에 생산자가 상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생산자가 느끼는 물가변동'임으로 향후 2~3개월 정도 이후의 CPI의 값을 어느 정도 선행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하지 않음으로 참고만 해야 합니다.
⬇︎CPI에 대해 알아보기⬇︎
-링크 추가 예정-
1-2. PPI의 구성
PPI는 6가지의 주요 가격지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종수요 상품 33%(식품과 에너지 포함), 최종수요 무역 서비스 20%, 최종수요 운송 및 창고 서비스 4%, 나머지 최종수요 서비스 41%, 최종수요 건설 2%, 전체 최종수요
2. PPI의 경제적 중요성
2-1. 인플레이션의 지표
PPI는 인플레이션을 예측하는데 주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직접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보는 기준이 되지는 않지만 생산자들이 느끼는 물가의 상승은 곧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상승 따라서 소비자가 느끼는 물가의 상승 즉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모건스탠리와 같은 곳 또는 다양한 경제학자들은 PPI를 분석하여서 2~3달 이후의 소비자 물가지수(CPI) 변동을 예상하곤 합니다.
2-2. 경제 정책에 영향
정부 및 중앙은행에서 PPI를 기반하여 인플레이션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고 PPI를 포함한 다양한 경제 지표를 기반으로 해서 금리 정책과 같은 경제 정책을 결정하게 됩니다. PPI의 변동은 각종 경제 정책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는 시장의 유동성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간접적으로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금리인하에 대하여⬇︎
금리 인하, 분석과 영향 : 경제를 움직이는 도구
1) 서론 2024년 3월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했습니다. 하지만 파월 연준 의장을 올해 3회 기준 금리 인하를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3% 초반대에서 머무르고 있지만 현재 연
ai-sw.tistory.com
⬇︎인플레이션에 대하여⬇︎
인플레이션 뜻 : 물가상승, 돈은 왜 녹는가?
인플레이션이란 단어를 들어본적이 있을 수 도 없을 수도 있을것이다 인플레이션은 우리가 생산 소비활동을 하며 가장 직접적으로 느끼게 되고 가장 가까이 접하게 되는 단어라고 생각한다. 돈
ai-sw.tistory.com
'경제 > 경제용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디락스 경제란? : 이상적인 경제성장 (1) | 2024.04.14 |
---|---|
CPI(소비자 물가지수)란? 그리고 의미와 영향 (3) | 2024.04.12 |
롤오버 비용 : 파생시장 추종상품 투자자 필독! (0) | 2024.04.09 |
VIX지수 ETF, ETN 으로 보는 시장 변동성 이해 및 투자전략 (0) | 2024.04.08 |
주식 배당이란? : 배당금, 배당의 방식 알아보기 (1) | 2024.04.07 |